2026년 최저시급 최종 결정 및 월급 계산 방법
최종 결정금액은?
2026년도 최저시급은 최저임금위원회에서 제시한 심의촉진구간 1만210원~1만440원 중에서 표결을 통해 최종 결정됩니다. 이는 올해 시급 1만30원보다 180원~410원 인상된 것으로, 인상률은 1.8%~4.1% 수준입니다. 확정 금액은 고용노동부 장관이 2025년 8월 5일까지 고시할 예정이며, 적용 시점은 2026년 1월 1일부터입니다.
노사 그리고 소상공인의 입장
노동계 입장
노동계는 실질임금 보전을 위한 적정한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최근 몇 년간 물가 상승률이 높았던 만큼, 생활 안정과 노동자 생존권 보호를 위해 최소한 1만900원 이상의 인상이 요구되었습니다. 그러나 제시된 상한선인 1만440원은 기대에 못 미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및 경영계 입장
경영계는 현재의 경제 상황과 내수 부진, 대출 부담 등을 고려할 때 동결 또는 최소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실제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의 상당수는 인건비 부담으로 인해 인력을 줄이거나 운영 시간을 축소하고 있습니다. 인건비 상승이 곧바로 사업 존폐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도 큽니다.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반응
시장과 거리 현장의 소상공인들은 "매출은 제자리인데 인건비만 올라 알바를 쓰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1인 매장 또는 가족 운영 편의점, 도소매 업종은 이미 인력을 줄였거나 주휴수당 지급이 부담돼 직접 운영하는 비율이 늘고 있습니다.
변경된 최저시급 내 월급은 얼마?
2026년 최저임금이 1만210원~1만440원으로 결정될 경우, 월급(월 209시간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휴수당 미포함 시:
- 1만210원 × 209시간 = 2,134,090원
- 1만440원 × 209시간 = 2,413,760원
- 주휴수당 포함 시(주 15시간 이상 근무 기준):
- 1만210원 × 209시간 × 1.2 = 2,560,908원
- 1만440원 × 209시간 × 1.2 = 2,896,512원
※ 주휴수당 포함 월급은 주 15시간 이상, 주 5일 이상 근무하는 경우 적용됩니다.
자주 하는 질문
Q. 2026년 최저임금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A. 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며, 고용노동부에서 2025년 8월 5일에 고시합니다.
Q. 주휴수당이란 무엇인가요?
A.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주 1회 유급휴일을 보장하기 위해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Q. 주휴수당을 꼭 줘야 하나요?
A. 법적으로 지급 의무가 있으며, 이를 미지급할 경우 임금체불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Q. 1인 자영업자도 최저임금을 따라야 하나요?
A. 본인이 직접 일하면 해당사항은 없지만, 직원을 고용할 경우 최저임금법을 따라야 합니다.
Q. 알바에게도 주휴수당을 줘야 하나요?
A. 주 15시간 이상 일한다면 지급 대상입니다.
Q. 최저임금 인상폭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A. 노동계, 경영계, 공익위원이 참여하는 최저임금위원회에서 심의와 표결로 결정됩니다.
Q. 최저임금보다 적게 주면 어떻게 되나요?
A. 최저임금법 위반으로 과태료와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Q. 소규모 영세업장은 예외인가요?
A. 예외 적용은 없습니다. 모든 사업장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Q. 주 15시간 이하 근로자는 어떻게 되나요?
A. 주휴수당은 지급되지 않지만 시급은 최저임금을 적용해야 합니다.
Q. 2026년 인상률이 다른 정부 때보다 낮은 이유는?
A. 물가와 생산성 반영 기준으로 설정된 심의촉진구간이 경영계 요구에 더 가까웠기 때문입니다.
마무리
2026년 최저임금 결정은 노동자 생계와 사업주의 경영 부담이라는 상반된 가치 사이에서 이뤄진 조정의 결과입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는 노사 모두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라는 반응으로 인해 당분간은 말이 많을것으로 보여지는데요. 앞으로도 최저임금 제도가 노동 보호와 고용 유지, 양측의 균형을 위한 제도로 기능하려면 현실적인 기준과 사회적 합의가 함께 뒷받침되어 100%는 아니어도 모두가 납득할만한 수준으로 정해져야 하지 않을까 싶다는 말씀 드리며,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2025.07.02 - [분류 전체보기] - 토핑경제 뜻 마케팅 활용 방법
토핑경제 뜻 마케팅 활용 방법
토핑경제, 나만의 스타일이 소비가 되는 시대2025년 소비 시장의 핵심 키워드로써 MZ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이 트렌드를 통해 개성을 표현하는 새로운 방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healthmoney.kr
2025.06.25 - [분류 전체보기] - 퇴직연금 의무화 도입 시기
퇴직연금 의무화 도입 시기
퇴직연금 의무화 도입, 지금 꼭 알아야 할 이유정부가 추진 중인 퇴직연금 의무화 제도는 기존의 퇴직금 지급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변화입니다. 체불 없는 퇴직급여, 공적 운영 강화, 특수
healthmoney.kr
2025.06.10 - [분류 전체보기] - BMI 간단 계산기(+위고비 처방시 필요)
BMI 간단 계산기(+위고비 처방시 필요)
BMI 계산기 키 (cm): 몸무게 (kg): BMI 계산하기 ✅ BMI 지수 분류표 (대한비만학회 기준) (계산식 : BMI = 65 ÷ (1.7 × 1.7))BMI 지수 분류 설명18.5 미만저체중 (마름)영양 부족 가능성 있음, 근육량 감소 주의
healthmoney.kr